본문 바로가기

생각을 말하다.

구름의 종류, 구름은 어떻게 다를까?

구름은 어떻게 다를까?
저 멀리 횡간도의 하늘의 구름


구름은 높이와 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 주요 구름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높이에 따른 구분
▫️상층운 (고도 6,000m 이상)
  - **권운(Cirrus, Ci)**: 매우 높은 곳에 얇고 흩어진 깃털 모양의 구름. 맑은 날씨에 나타나며 비는 내리지 않음.
  - **권적운(Cirrocumulus, Cc)**: 작은 알갱이처럼 보이는 구름이 모여있는 형태. 차가운 날씨에서 나타남.
  - **권층운(Cirrostratus, Cs)**: 하늘 전체를 덮는 얇은 구름으로, 태양이나 달 주변에 광륜(고리)을 형성할 때가 많음.

▫️중층운 (고도 2,000~6,000m)
  - **고적운(Altocumulus, Ac)**: 작은 덩어리 모양의 구름들이 흩어져 있는 모습. 뭉게구름처럼 보이지만 중간 높이에 형성.
  - **고층운(Altostratus, As)**: 하늘을 덮는 회색의 구름층으로 태양이나 달이 희미하게 보일 수 있음. 약한 비나 눈을 내리기도 함.

▫️하층운 (고도 2,000m 이하)
  - **층운(Stratus, St)**: 하늘을 덮는 회색 구름층으로, 안개와 비슷하며 비나 이슬비를 내릴 수 있음.
  - **층적운(Stratocumulus, Sc)**: 낮은 고도에서 둥글둥글한 구름 덩어리가 모여 있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날씨 변화와는 크게 관련이 없음.
  - **난층운(Nimbostratus, Ns)**: 하늘 전체를 덮고 어두운 색을 띄는 구름으로, 지속적으로 비나 눈을 내리게 함.

▪️발달 정도에 따른 구분
▫️**적운(Cumulus, Cu)**: 푹신한 솜사탕 모양의 구름. 맑은 날에 주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날씨 변화와는 관련이 없지만, 발달하면 비구름으로 변할 수 있음.
▫️**적란운(Cumulonimbus, Cb)**: 거대한 뭉게구름으로 수직으로 크게 발달한 구름. 뇌우, 번개, 소나기, 심한 경우 돌풍과 우박 등을 동반함.

▪️특수 구름
- **층운성 구름(Scud)**: 앞서가는 비구름의 아래쪽에서 형성되는 낮고 빠르게 움직이는 구름.
- **웅대구름(Pileus)**: 적란운 꼭대기에 얇은 구름이 덮여 있는 형태로, 상승하는 공기가 매우 강할 때 나타남.

이러한 구름들은 각기 다른 기상 현상과 날씨 패턴을 나타내며, 구름의 모양과 높이에 따라 날씨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