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정하는 유튜브 채널 <일당백>에서 오랜만에 저자를 초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책은 [자폐스펙트럼과 하이퍼 월드]라는 책인데 정확히는 저자는 아니고 번역자인 김경화님이 초대되었다. 저자는 이케가미 에이코이다.
한참 방송을 듣는 중 낯선 용어인 [불쾌한 골짜기
이론]이 언급되었다. 게스트인 김경화님과 호스트인 정박님 그리고 정영진님이 설명을 해주었지만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어 검색해보았다.
위키에서 검색해 보았고 이분들이 설명해준 내용과 다를 것은 없었다. 내용을 옮겨본다.
![](https://blog.kakaocdn.net/dn/oPaDh/btssf3h8lTd/OjxdneyMbRtcKa7Zo7ha20/img.jpg)
불쾌한 골짜기 이론이란.
인간은 인간을 어설프게 닮은 것을 닮지 않은 것보다 더 싫어한다는 것이다.
로봇이 인간을 어설프게 닮을수록 오히려 불쾌함이 증가한다는 일본 로봇 공학자 모리 마사히로(森政弘)의 주장. 프로이트의 ‘이질적인 불편함’에 가까운 심리학 용어로 사용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ed2uqs/btssaAnPGkQ/mIfajbaTa5pAJGSKBG675K/img.webp)
그래프를 보면 인간과 동떨어진 모습에서는 호감도가 낮다가 유사성이 증가할수록 호감도가 늘어나지만, 부자연스러운 인간의 모습을 취하기 시작하면 호감도가 대폭 감소하는데, 이 구간(그림의 4번)의 모습이 골짜기를 닮은 것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참고_나무위키,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