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을 말하다.

진법과 진수의 이해. 십진법, 이진법, 10진수, 2진수, 10진수를2진수로바꾸기

[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은 IT의 역사 / 박민규]를 보다가  진법, 진수에 대해 쉽게 설명해 놓은 부분이 있어 일부만 옮겨본다.  


진법과 진수

진법이란 수를 셀 때 자릿수가 올라가는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셈법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10진법을 사용해요. 9+1=10에요. 9에 1을 더하면 일의 자리는 01 되고, 10의 자리가 1이 됩니다.
99+1을 계산해볼까요? 먼저 일의 자리를 더한 값은 9+1=10으로, 10의 자리에 1이 올라가고 일의 자리는 0돼요. 10의 자리에는 원래 9가 있었는데 일의 자리에서 온 1을 더하면 또 10이 돼요. 10의 자리에는 0이 남고 100의 자리가 1이 됩니다. 이렇게 셈하는 10진법에서 사용하는 숫자가 10진수랍니다.

셈법

셈법에는 10진법 외에도 여러 종류가 있어요. 아주 간단한 1진법도 있지요. 1. 11. 111. 1111. 11111 ..
1진법은 1의 개수로 계산을 해요. 1진수 1은 10진수로 1이고, 1진수 11은 10진수로 2. 111은 10진수로 3인 거죠.

12진법도 있어요.
보통 시간을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합니다. 1년은 12개월이에요. 만약 월을 셀때 10진법을 쓴다면 10월 다음이 새해 1월이 될 테지만, 12월 다음이 1월이 되죠. 또, 12시 다음이 새롭게 1시가 된답니다.

컴퓨터에서는 주로 2진법을 사용해요.
2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만 사용해요. 논리 연산을 할 때도 0과 1만 사용하지요. 스위치에도 전기가 통하는 상태와 통하지 않는 두 가지 상태만 있어요. 전기가 통하는 상태를 1로,통하지 않는 상태를 0으로 표시하지요. 기계에 어떤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전기를 흐르게 하거나, 끓는 것으로 신호를 보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컴퓨터는 2진법과 2진수를 기본으로 숫자 계산도 하고 논리 연산도 한답니다.


10진수를 2진수로 바꾸기

10진수를 2진수로 바꾸는 법은 간단해요.
10진수를 계속 2로 나누고 그 나머지를 찾으면 된답니다. 10진수 14를 2진수로 바꿔 보아요.

[10진수를 2진수로 바꾸기]

14 나누기 2, 몫은 7 나머지는 0
나머지 다시 몫 7 나누기 2, 몫은 3 나머지는 1
다시 몫 3 나누기 2, 몫은 1 나머지는 1
다시 몫 1 나누기 2, 몫은 0 나머지는 1

나누기를 마쳤습니다. 나머지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거꾸로 쓰면 2진수를 확인할 수 있어요. 즉, 10진수 14는 2진수 1110으로 나타낼 수 있답니다.